철, 강한 나라를 만들다 - 칠치도
백제는 우수한 제철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철기를 만들었다. 특히 수준 높은 상감 기술을 이용해 칠지도를 만들어 왜왕에게 주기도 하였으며, 고리 달린 큰 칼과 각종 꾸미개도 만들었다. 칠지도의 전체 길이는 74.9cm이고 손잡이 내지 연결부를 뺀 칼날 부분이 66.5cm이다. ‘일곱 갈래의 가지로 된 칼’이라는 뜻을 가진 칠지도는 몸통 좌우로 3개씩 가지가 뻗어 있다.

- 앞면 泰和四年五月十六日丙午正陽造百練銕七支刀出(生)辟百兵宜供供侯王△△△△祥(作) 태화 4년 5월 16일은 병오인데, 이날 한낮에 백번이나 단련한 강철로 칠지도를 만들었다. 이 칼은 온갖 적병을 물리칠 수 있으니, 제후국의 왕에게 나누어 줄만하다. △△△△가 만들었다.
- 뒷면 先世以來未有此刀百濟王世子奇生聖音故爲倭王旨造傳示後世 지금까지 이러한 칼은 없었는데, 백제 왕세자가 뜻하지 않게 성음이 생긴 까닭에 왜왕을 위해 정교하게 만들었으니 후세에 전하여 보이도록 할 것이다. (국사편찬위원회 해석)
지붕을 수놓은 꽃과 동물 - 수막새
기와는 집의 지붕을 덮는 건축자재이다. 백제 한성기 기와는 암·수키와와 수막새 등이 있다. 한성기의 수키와는 무늬가 없는 것이 대부분이고, 암키와는 격자무늬·선무늬가 있다. 수막새에는 풀꽃무늬草花文, 나뭇가지무늬樹木文, 동전무늬錢文, 동그라미무늬圓文, 마름모무늬菱形文, 연꽃무늬蓮花文 등 여러 가지 무늬를 새겼으며, 민무늬無文도 있다. 불교가 융성하기 시작한 웅진기부터는 수막새에 연꽃무늬가 대부분이고 사비기에는 바람개비무늬巴文도 있다.
- 01 ~ 05동전무늬
- 06민무늬
- 07~09풀꽃무늬
- 10~11짐승얼룩무늬
- 12수레바퀴무늬
왕이 살다-몽촌토성, 풍납토성


풍납토성
풍납토성은 1963년에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. 성벽의 전체 둘레가 3.5km에 달하는 큰 규모였으나 지금은 2.2km 정도만 남아있다. 성곽은 외부세력의 침입을 집단으로 막는 고대사회의 중요한 방어 시설이었다. 따라서 방어하기 쉽고 잘 허물어지지 않는 성곽을 쌓기 위해 당시 최고의 토목 기술을 총동원하였다. 이곳에서 백제 궁궐시설의 일부로 보이는 각종 유구와 도로, 대형 건물지, 일반 집자리, 배수로 등 다양한 유구를 확인하였다.


몽촌토성
몽촌토성은 남한산성 끝자락인 해발 45m 내외의 자연구릉을 이용하여 쌓은 토성이다. 전체 둘레 2.3km이고 형태는 남북 730m, 동서 570m의 마름모꼴에 가깝다. 동북쪽에 작은 외성이 있으며 성 외곽에는 구릉 아래쪽을 따라 자연하천을 이용하여 만든 해자(垓子)가 있다. 또한 이곳에서 백제 한성기의 적심석을 갖춘 지상건물터, 판축 대지, 움집터, 저장구덩이, 연못터, 목책 등이 조사되었다.
영원히 사는 곳, 무덤 - 석촌동고분군, 방이동고분군


석촌동 고분군
석촌동 고분군을 보면 백제 초기 고분의 구조와 계통이 생각보다 훨씬 다양하고 복잡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. 석촌동 3호분은 동서방향의 길이가 약 50.8m이고, 남북 방향의 길이가 48.4m로 추정되는 방형의 계단식 적석총이다. 산에서 가져온 돌을 다듬어 계단 모양으로 최소 3단 이상 쌓았는데, 근대이후 도시개발로 윗부분이 모두 파괴되어 높이 4.5m 이상에 대해서는 원래 형태를 알 수 없다.


방이동 고분군
서울 방이동 일대에 있는 백제전기(4C초∼475)의 무덤으로 한성백제의 문화를 알 수 있는 유적이다. 제1호 무덤은 봉토의 지름이 12m, 높이 2.2m로 널길(연도)과 널방(현실)을 가진 굴식돌방무덤(횡혈식석실분)이다. 6호 무덤에서 나온 회청색경질 굽다리접시의 경우 굽구멍(투창)이 전형적인 신라토기에서 볼 수 있는 형식이다. 이는 6세기 이후 한강유역이 신라영토가 되었을 때 만들어진 신라무덤이라는 견해도 있다.
출처 : 한성백제박물관